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테
- JPA
- 팀프로젝트
- javascript
- MariaDB
- spring
- 공유DB
- gradle
- 입출력
- spring boot
- React
- 자취
- ps
- 프로젝트
- IntelliJ
- SpringBoot
- JDK
- Controller
- 코딩테스트
- 백준
- jdk11
- 자바
- 디자인패턴
- MVC
- Project
- coding test
- Java
- 스프링
- AWS
- 취준생
- Today
- Total
Tech Collection
[React] #0 기본 설치 - Git 본문
이전 글
Git과 연동
1. Git Download
2. cmd 에서 버전 체크
>> git --version
3. vs code에서 git에 올리지 않을 파일 목록 생성
.gitignore 파일 생성 후 라이브러리가 있는 폴더인 node_modeules 는 올리지 않도록 수정 후 저장
4. vs code에서 terminal에 명령어 입력
>> git init
: .git 파일을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 넣어줌으로써 git 과 연결시킴!
>> git add .
: 프로젝트의 모든 파일을 git에 추가
: 잘못 올린 파일의 경우 >> git rm --cached [지울 것의 이름] -r 실행!
>> git commit -m "메시지"
: git repository에 올릴 준비
이 단계에서, git bash에서 ssh 설정을 진행해야 한다!
Git Bash 에서 SSH Setting
아래의 문서를 참고하며 차례대로 진행
1. Git Bash 실행
2. 명령어 입력
>> ssh-keygen -t ed25519 -C "github 계정 이메일"
: 나는 이미 저장되어 있어서 덮어쓰기 했다.
: Enter passphrase 가 나오면 자신이 원하는 인증 비밀번호 설정!
: Enter save passphrase again 은 비밀번호 확인
3. ssh 생성 확인
>> ls -a ~/.ssh
: id_ed25519, id_ed25519.pub 있는지?
VS Code의 Terminal에서 git에 저장하기
>> git branch -M main
: 브랜치 지정
>> git remote add origin [github reopsitory 경로.git]
: git으로 접근 할 origin 경로 지정
: 처음 비어있는 저장소를 생성했을 때 나오는 url (뒤에 .git 이 붙어있어야 한다)
>> git push -u origin main
: origin 경로의 main 브랜치로 push
** 처음 저장소 생성 시 README.md를 생성해서 에러가 나는 경우
>> git push -u origin +main
: 브랜치 앞에 +를 입력하면서 강제로 덮어쓰게 할 수 있다.
'Build >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#0 기본 설치 - node.js (0) | 2021.10.10 |
---|